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블루베리 품종 완전 정리!! 하이부시부터 래빗아이까지, 재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들
반응형

블루베리 품종 완벽 정리

 

 

블루베리는 단순한 과일을 넘어 건강과 미각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매력적인 작물입니다.

특히 대한민국에서는 지역별 기후와 토양 특성에 맞는 품종 선택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에서 재배 가능한 블루베리 주요 품종과 그 특성, 재배 방법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블루베리 품종별 특성과 재배 정보

1. 노던 하이부시 (Northern Highbush)

노던 하이부시(Northern Highbush)는 중부 내륙이나 고지대처럼 겨울이 차가운 지역에 잘 맞는 품종입니다.

키는 1.5m~2m까지 자라고, 자가수정도 가능하지만 교차수정을 해주면 더 크고 단단한 열매를 맺죠.
대표 품종으로는 듀크(Duke), 블루크롭(Bluecrop), 챈들러(Chandler) 등이 있어요.

이 품종들의 공통점은 열매가 크고 당도가 뛰어나며, 생과용으로 판매하기에 아주 적합하다는 것.

단점이라면 겨울이 충분히 춥지 않으면 꽃눈이 잘 생기지 않는다는 점. 그래서 남부 지역에서는 생육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 특  징

  • 수고 : 약 1.5m~2m 내외로 성장하는 중대형 관목
  • 기후 조건 : 냉랭한 온대기후를 선호하며, 겨울철 충분한 저온 요구도가 필요
  • 개화 및 수확 시기 : 일반적으로 6월 중순 ~ 8월 초 수확
  • 자가수정 가능하나, 타가수정 시 수확량↑, 열매 품질↑

✅ 장  점

  • 열매가 크고 당도, 산도 균형이 뛰어나 상품성 우수
  • 다양한 품종군이 있어 선택 폭이 넓음 (예: 듀크, 블루크롭, 챈들러 등)
  • 생과용, 가공용 모두 적합

✅ 단  점

  • 겨울에 충분히 춥지 않으면 꽃눈 형성 어려움
  • 산성토양(pH 4.5~5.5) 요구, 배수 / 수분관리 필요

✅ 대표 품종

  • 듀크 (Duke)
  • 블루크롭 (Bluecrop)
  • 챈들러 (Chandler)
  • 엘리엇 (Elliott)
  • 레카 (Reka)
반응형

바로가기

 2. 서던 하이부시 (Southern Highbush)

‘블루베리는 추운 지역에서만 자라는 과일’이라는 고정관념을 깨주는 게 바로 서던 하이부시(Southern Highbush)입니다.

노던 하이부시와 다른 품종을 교배해 만든 이 품종은 상대적으로 저온 요구도가 낮아, 남부 지방에서도 재배 가능해요.

다만 내한성은 약하므로, 추운 지역에서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 특  징

  • 노던 하이부시 × 다른 온난지형 품종의 교잡종
  • 수고 : 1.2m~1.8m 내외
  • 기후 조건 : 따뜻한 남부 지역에서도 재배 가능
  • 저온 요구도 낮음, 비교적 빠른 개화와 수확

✅ 장  점

  • 온난한 지역(남부 지방)에서도 잘 자람
  • 조기수확 가능 → 시장 선점 유리
  • 열매 크기, 맛 우수

✅ 단  점

  • 저온 요구도가 낮아 북부지역에선 늦서리 피해 위험
  • 내한성이 약해 혹한지역 부적합

✅ 대표 품종

  • 미스티 (Misty)
  • 에메랄드 (Emerald)
  • 주빌리 (Jubilee)
  • 오닐 (O’Neal)
  • 샤프블루 (Sharpblue)

바로가기

 3. 래빗아이 (Rabbiteye)

키가 2m 이상 자라는 래빗아이(Rabbiteye)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아 상업용으로도 인기가 높습니다.
하지만 자가수정이 어렵기 때문에 두 품종 이상 함께 심어야 수확이 가능하다는 점은 꼭 기억해야 해요.

단단한 열매와 저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통에도 강점이 있지만, 하이부시보다는 맛이나 식감이 다소 떨어지는 편입니다.

✅ 특  징

  • 수고 : 2m 이상까지 자라는 대형 관목
  • 기후 조건 : 온난지방에 적합. 내서성(더위에 강함) 우수
  • 개화 시기 늦음, 수확도 늦음 (보통 7월~9월)
  • 자가수정 불완전, 두 품종 이상 함께 심는 게 필수

✅ 장  점

  • 내병성, 내건성 강해 재배가 비교적 쉬움
  • 수확량 많고, 저장성 우수
  • 고온건조 기후에 적합

✅ 단  점

  • 열매 품질은 하이부시에 비해 다소 낮은 편
  • 산성토양 필수, pH 관리 중요
  • 북부 지방에서는 동해(겨울 피해) 우려 있음

✅ 대표 품종

  • 브라이트웰 (Brightwell)
  • 파우더블루 (Powderblue)
  • 티프블루 (Tifblue)
  • 클라이맥스 (Climax)
  • 데라이트 (Delite)

바로가기

 4. 로우부시 (Lowbush)

로우부시(Lowbush)는 캐나다 등 한랭한 지역에서 자라는 작은 키의 야생 블루베리입니다.
당도와 향은 진하나 열매가 작아 가공용으로 주로 쓰입니다.

✅ 특  징

  • 수고 : 20~60cm 정도의 야생성 소형 관목
  • 기후 조건 : 한랭한 지역(캐나다, 북미 북부 등)에 적합
  • 수확 시기 : 8월 전후
  • 주로 자연적으로 군락 형성, 기계 수확에 적합

✅ 장  점

  • 당도와 향이 진해 맛이 뛰어남
  • 가공용(잼, 주스, 건과일)에 주로 이용
  • 추위에 강해 극한지역 재배 가능

✅ 단  점

  • 열매 크기 작음
  • 생과용 상품성 낮음
  • 대량생산이 어려운 경우도 있음

✅ 대표 품종

  • 블루노바 (Bluenose)
  • 노바스카샤 와일드 (Nova Scotia Wild)
  • 펜할리건 (Penhallow)
  • 펄 브룩 (Pearl Brook)
  • 와일드로우부시 (Wild Lowbush)

바로가

 5. 하프하이 (Half-high)

하프하이(Half-high는 노던 하이부시와 로우부시의 교잡종으로, 혹한에도 잘 자라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확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겨울이 긴 고산지대나 북부 지방에 거주하는 분들에게는 이 하프하이가 유일한 대안일 수도 있어요.

✅ 특  징

  • 노던 하이부시 × 로우부시의 교잡종
  • 수고 : 약 0.6~1.2m, 중간 크기
  • 기후 조건 : 혹한 지역용 블루베리, 내한성 매우 우수
  • 개화 및 수확 시기 : 중간 ~ 늦은 여름

✅ 장  점

  • 극지방 / 고지대 재배 가능
  • 작고 단단한 열매 → 저장성 / 가공용에 적합
  • 상대적으로 병해에 강하고 관리 쉬움

✅ 단  점

  • 열매 크기가 하이부시에 비해 작음
  • 생과 시장에서는 상품성 약간 떨어짐

✅ 대표 품종

  • 노스블루 (Northblue)
  • 노스컨트리 (Northcountry)
  • 노스랜드 (Northland)
  • 스탈워트 (St. Cloud)
  • 폴라리스 (Polaris)

바로가기

🍇 그 작은 차이, 블루베리의 큰 세계

이 작은 열매를 단순히 하나의 과일로만 보기엔, 그 안에 담긴 세계가 너무 다릅니다.
기후와 토양, 물관리, 수정 방식 하나하나가 품질과 수확량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이죠.
특히 블루베리 재배를 고려하고 계시다면, 단순히 “블루베리 묘목”을 고르기 전에, 나의 재배 환경과 소비 목적에 맞는 품종을 먼저 고민해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 직접 키워보고 싶은가요?

블루베리를 직접 재배하고 싶으신가요? 혹은 내 환경에 맞는 품종이 궁금하신가요?
댓글로 재배 위치나 궁금한 품종을 남겨주시면, 환경에 맞는 블루베리 품종을 함께 찾아드릴게요.
지금 바로, 블루베리의 세계에 한 발짝 들어가 보세요. 🍃

 

 

2025.04.18 - [분류 전체보기] - 블루베리나무 묘목 재배법 및 효능, 지역별 농장체험 총 정리

 

블루베리나무 묘목 재배법 및 효능, 지역별 농장체험 총 정리

"이 작은 열매가 이렇게 많은 걸 담고 있다고?" 한입에 쏙 들어가는 크기, 상큼한 맛, 그리고 진한 보랏빛. 블루베리는 겉보기엔 작고 평범해 보이지만, 그 속에는 수많은 건강 이점과 경제적 가

hiyasite.tistory.com

2025.04.21 - [분류 전체보기] - 블루베리 재배법 완전 정복 : 토양, 품종, 수확까지 한눈에 성공 노하우

 

블루베리 재배법 완전 정복 : 토양, 품종, 수확까지 한눈에 성공 노하우

물 한 방울, 햇살 한 줄기의 의미가 달라지는 순간이 있습니다.작은 푸른 열매 하나가 품은 가능성을 들여다본 적이 있으신가요?요즘 귀농을 고민하거나 작물 전환을 계획하는 분들 사이에서 ‘

hiyasite.tistory.com

 

반응형